본문 바로가기

코딩 공부/JSP

JSP 환경설정

본격적인 웹페이지 개발 공부 시작

이제 앞서 공부 한 JAVA와 ORACLE을 토대로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eclipse 설정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웹페이지에 올리기 위해서는 서버를 받아야 합니다.

 

환경설정

eclipse의 환경을 javaEE로 우선 바꾸고 시작합니다.

 

window - perspective - open Perspective - other

에서  Java EE 를 선택하여 Open을 해 줍니다.

저는 벌써 디폴트로 되어 있네요.

 

 

그리고 아파치 톰캣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아파치 톰캣-9 Ver.zip (pgp, sha512) 파일을 다운로드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파일의 저장 경로를 기억해 둡니다.

이클립스 화면에서, 좌측 화면 하단에 서버 탭을 클릭, No servers are available.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 를 클릭해 줍니다.

이때 저는 v9.0을 다운로드해주었기 때문에 Tomcat v9.0 Server를 선택 하주시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설치를 하지 않고 실행하는 포터블 형이기 때문에 다음에서 아파치가 다운된 곳에 가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위와 같이 설정해 주었습니다. 

여기서 포트번호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번호인데 이 번호가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하지 않도록 다른 프로그램에서 쓰이지 않는 번호를 써주시면 됩니다.

 

새 프로젝트 생성

전에 한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 Project Explorer에서 우클릭 , New - Dynamic Web Project

저는 Context root명을 test로 지정해 주었고, 기본값으로 생성하였습니다.

여기서

Context root  :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할 때의 가장 근본이 되는 폴더명,

Content directory 란 웹에서 찾아가는 경로입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했으면 jsp파일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웹브라우저에 띄울 페이지는 main - webapp폴더 하위에 만들게 됩니다.

 

 

jsp파일을 만들었으면 서버에 올리고 시작합니다.

서버에서 우클릭 Add and Remove로 프로젝트 폴더를 서버에 올릴 수 있습니다.

 

왼쪽이 서비스가 가능한 프로젝트 왼쪽이 서비스 중인 프로젝트입니다.

 

 

위에서 Add - Finish를 해주었다면 다시 서버 우클릭으로 Start 해줍니다.

 

 

이렇게 간단히 서버에 올리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코딩 공부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TL  (0) 2022.10.28
EL태그  (0) 2022.10.27
내장객체  (0) 2022.10.26
JSP 내장객체  (0) 2022.10.13
JSP의 사용  (0) 2022.10.12